본문 바로가기

UX이야기/서비스

[외부교육] 2015 모바일 트렌드 / 커넥팅 랩. 박종일 대표 강의

  1. 강사 정보
    커넥팅 랩 - 박종일 대표, connectinglab.net, 착한텔레콤-휴대폰 오픈마켓 운용 중.
    주요내용 : 옴니채널, O2O, 사물인터넷
    모바일트렌드 2015출판, 총 4회의 강연을 했음\
    매월 2번씩 정기적인 세미나를 함께하고 있음.
  2. 강연 내용
    1. 2015년 트렌드는 무엇이 될까...?
    2. O2O나 옴니채널 같은 경우, 한국에는 굉장히 늦게 알려졌음.
    3. 단일채널-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가격정책이 달랐음. 관리채널 부서가 다름.
    4. 멀티채널-각 채널별 통합 관리. 상품과 서비스, 조직이 분리되어 있음. 온라인/오프라인 각 담당부서의 협업이 이루어지지 않음.
    5. 크로스 채널-각 채널 간 '협업'이 가능하도록 운용. 협업의 화학적인 시너지는 없었음.(옴니채널 발생이유)
    6. 옴니채널-전체 채널을 통합화
      1. 상품/서비스 일원화 -> 원가보다는 고객관점
      2. 고객관리통합 -> 끊김 없는 고객관리
      3. 조직간 경쟁이 아닌 협력
      4. 모든 고객이 스마트 디바이스로 인하여 모두 온라인 상태에 있음. (모바일로 인함)
    7. 옴니채널은 온라인/오프라인 분리에서 모바일을 통해서 각 채널이 붕괴된 것임.
    8. 소비자의 행동패턴의 변경
      1. as-is : 주의, 관심, 욕구, 기억, 행동
      2. To-be : 주의, 관심, 검색, 행동, 공유
      3. 기업은 구매 후 공유단계까지 챙겨야함.
    9. 온/오프라인 결제 시장의 재구성 필요함.
      1. 구매는 온라인에서->이용은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짐. (온라인으로 책을 사고, 오프라인매장에 가서 가져오는 경우)
    10. O2O 활용 결재
      1. 아마존, 대쉬 서비스
        1. Amazon Fresh 연동
        2. 이미지스캔, 음성으로 구매 물품 선택
        3. 24시간 내 배송
        4. 온라인 카트 -> 제고 확보 -> 배송
      2. 월마트, 스캔 앤고 서비스
        1. 오프라인 매장 방문 고객 원함
        2. 구매 물건 바코드 / QR 스캔
        3. 셀프체크아웃에서 결재(대기시간 감소)\
        4. 현재 20개 에서 70개로 변경 예정

      3. 커머스 기업의 온-오프라인 조화
        1. 클릭 앤 콜렉트 방식 확대
        2. 이베이&아고스 제휴
        3. 런던지하철-'인터넷으로 주문하고 역에서 찾아가세요'
        4. 무점포 쇼핑몰-쇼퍼블 윈도우(Shoppable Window)
          1. 매장 공간의 한계를  극복
          2. 오프라인 매장의 '쇼윈도우' 24시간 운영
          3.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점포도 가능
        5. 실내 측위를 활용한 커머스 솔루션
          1. 애플, 아이비콘
          2. 퀄컴, 이잿(Izat)
        6. 세계 최대 O2O 시장 중국, 텐센트
          1. 중국의 시장 환경
            1. 온라인 거래금액 미국 추월.
            2. 광고비가 비싸고, 열약한 소매 인프라 -> 오프라인 마케팅의 효율성 낮음
            3. 신용카드 보급률 10% 수준으로 낮음
            4. 중국의 O2O 시장은 한화 20조 수준
          2. 위챗을 통한 O2O 진출
            1. 웨이신 카드
            2. 오프라인 상점에서 활용 확대
            3. 매장의 QR 스캔-> 웨이신 계정 연결
            4. 텐페이의 비밀번호 입력시 결제 가능
            5. 텐센트의 다음 목표는 택시 시장
              1. 택시 서비스 250억원에 인수
        7. 중국을 넘어 세계로, 알리바바
          1. 알리바바 그룹
          2. 알리페이
            1. 기존 전자결제는 신용카드/은행계좌 연동. 알리페이는 충전, 에스크로 지불대행 방식
          3. 한국은 신용카드 보급률 자체가 굉장히 높아서 핀테크가 침투할 범위가 적음
          4.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금융규제가 늦게 왔음.
          5. 단순 결제를 벗어나 금융 영역을 대체하고 있음.
        8. 커머스/결재에서 파이낸스의 영역으로..
          1. 알리바바그룹. - 대불 지불 후 남은 금액을 MMF로 투자
          2. 연이율 최고 6.3%
          3. 텐센트 : 위챗 연결
        9. 일상을 지배하는 옴니채널
          1. 고객인지-구매탐색-구매/결제-행동
        10. 모바일 결재
          1. 모바일 + 결재
          2. 휴대폰 케이스 안에 신용카드를 넣는 것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었음. 불편함이 없음.
        11. 모바일 결재
          1. 모바일 뱅킹, 간편ㄴ결제, NFC, 모바일 월렛, 가상화폐, 모바일 체크/신용카드, 바코드/QR코드 결재 등.
          2. 모바일 결재의 구성요소 - 스마트 디바이스, 금융규제 완화, 신용화폐 이용
          3. IT+가상화폐 = 핀테크 
        12. 핀테크란?
          1. ATM,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2. 핀테크는 금융인프라가 취약한 곳에서 가치가 있음.
            1. 케냐의 경우, 금융인프라가 없어서 버스에 돈을 태워서 송금하는 형태였다고 함.
            2. 선불 충전 방식의 모바일 산업이ㅣ였음 -> 돈을 모바일을 통해 충전해서 전송한는 형태로 발전
            3. 케냐 모바일 인구의 68%가 사용하고 있음.
        13. 뱅크월렛카카오
          1. 시중은행이 함께 제공하는 선불화폐 기반의 모바일 월렛(2013년 3월 출시)
          2. 카카오 고객 기반에 기존 은행계좌를 연동하여 사용
          3. 시중은행의 모바일 뱅킹보다 더 간편한 송금절차를 구현.
          4. 선불화폐 플랫폼으로서 카카오의 모바일 결제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임.
        14. 페이팔-해외에서 활용 용이
        15. 알리페이-2003년 출시된 간편결제 서비스로 송금 및 지급결제 서비스 뿐만 아니라 여유자금을 펀드에 투자하여 수익을 내고 있음.
          1. 결제규모 - 페이팔 180조원<알라페이 630조원
          2. 회원수 - 페이팔 1억 4,800만명 < 8억 2,000만명
        16. 카카오페이는 LG CNS와 연계해서 진행했음.
        17. 쟁점
          1. 결재시장에서는 단기자금과 장기자금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2. 가맹점 확보 - 사실상의 허들이 되고 있음. 
          3. 서비스의 편리성은 기본.
          4. 이니시스와 같은 회사는 우리나라에 엄청 많음.
          5. CNS는 50위권의 회사였음.
          6. 수수료를 CNS에서 굉장히 낮춤으로써 카카오와 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함.
        18. 스타트업의 핵심은. 기존 산업을 어떻게 뒤집을 것인가? 에 속한다고 함.
        19.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방법도 강구중인 상황임.
        20. 간편결제 시장, 춘추전국시대임.
          1. 삼성월렛, 카카오페이, 라인페이,etc...
    11. 사물인터넷
      1. M2M, IoT, IoE 로 Everything 으로 변경되어지고 있음.
      2. 사람-사물-빅데이터로의 연결.
      3. 스마트가 가고 사물인터넷이 옴.
        1. 세계 스마트폰시장 성장률은 떨어질 예정.
          1. 사물인터넷은 고객이 원하기보다는 산업에서 성장을 해야하는 상황이라 드라이브 하는 상황임.
          2. 현재 사물인테넛 매출의 대부분은 디바이스가 차지하며 서비스 관련 매출은 3% 정도임.
          3. 향후,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분야의 성장이 있을 것.
          4. 초융합사회. 디지털과 아날로그 경계가 무너짐.
          5. 구글은 모토로라를 팔고 네스트를 인수했음 -> 스마트홈 시장을 본것임.
            1. 미국의 대표적인 주거 유형인 단독주택
            2. 한국의 대표적인 주거 유형인 아파트
            3. 주택의 주거형태를 봐야함.
            4. 범죄율, 공공요금이 시장마다 다름.
            5. 가치 = 재화를 이용한 만족 / 재화의 가격.
        2. 진통제와 같은 서비스인가, 비타민 같은 서비스 인가. 구분할 필요가 있음.
        3. 사물인터넷. 3S. 
          1. Safety(안전성)
            1. 보안 및 안전에 대한 니즈 증가추세, IoT 기술 필수적으로 활용될 것.
            2. 웨어러블 미아방지 위치추적 기능 비교적 고가임에도 사용하게 됨.
          2. Save the Money (경제성)
            1. 자동차 보험료 할인을 위해 운전습관//생체정보를 공개하겠습니까? 74% YES. 
          3. Solution
            1. 스마트 미터기 같은 경우....요금 폭탄이 안되고, 서버에서 관리하는 형태.
            2. 공공산업에 해당 분야가 많다보니, 스타트업에서는 작기 때문에 힘들 가능성이 큼. 
            3. 미국 샌프란시스코 스마트파킹시스템
            4. 미국 뉴욕 하수구 범람 예방
            5. 최근에는 스타트업을 각 해당분야의 전문가들이 스타트업을 하는 경향이 있음.
        4. 사물인터넷의 대중화 - 에프터 마켓에 주력하라.
          1. 제품의 정비 및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등의 서비스 사업이 진행되는 시장(삼성경제 연구소
          2. 크롬캐스트와 같은 형태- 지금당장, 쉽고, 저렴하게
          3. K3워치. 스마트키 기능.
        5. 세상이 변하는 속도가 굉장히 빠름.
          1. 1년 전에는 국내에는 아무런 분위기가 없었음.
          2. 이동통신의 단통법의 경우. 수많은 자영업자의 폐업도 발생시켰음.
    12. 질문.
    1. 한국의 가장 좋은 O2O  사례는 소셜커머스임.
    2. 매장 방문자수 = 온라인 접속자수
    3. 모바일로 시장을 살리지 못한다면, 아직 발굴되지 못한 상황일수 있음.
    4. IT영역에서 시각을 볼 것이 아니라, 해외에서 볼 것.
    5. 스포카 라는 스타트업이 있는데, 마일리지 통합 시스템임. 스타트업으로 일을 하기 힘들 줄 알았는데. 계속 유지 중..불가능은 없는것인가? 싶은 생각이 든다고 함.
잘 보셨다면 꾸욱!